J Med Life Sci > Volume 5(1); 2007 > Article
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2007;5(1):31-43.
DOI: https://doi.org/10.22730/jmls.2007.5.1.31    Published online August 31, 2007.
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의 산화스트레스 및 Thioredoxin 의 발현양상
김기석
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
The Expression patterns of Oxidative Stress and Plasma Thoredoxin levels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
Ki-Seok Kim
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, Cheju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, Jeju 690-756, Jeju, Korea
Correspondence:  Ki-Seok Kim, Email: kiseok@cheju.ac.kr
Abstract
No abstract available.
배경 및 목적: 산화/환원계 조절 및 새포내 신호전달에 중요한 Thioredoxin (TRX)은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에서 그 관련성이 기대되고 있으나,급성 허혈성 심질환에서의 역할은잘 알려져 있지 않다. 본 연구는 산화 스트레스의 발생과 산화/환원계의 불균형 산물이 급성 관동맥 질환의 발병에 직접 관여하거나,혹은 이차적인 산물로 나타나 그 위험도와 중증도를 반영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,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의 임상적 중증도에 따른 혈장 TRX 발현양상과 초기 위험도 및 중증도를 대변할 수 있는 새로운 표지자로서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. 대상 및 방법: 흉통을 주소로 응급실을 내원하여 급성 관동맥 증후군 진단 하에 (응급) 심혈관 조영술과 일차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았던 ST elevation MI (STEMI) 환자군 (n=27)과 Non ST-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 환자(n=50)군 및 정상 대조군(n=15)을 대상으로 하여 혈장 TRX를 ELISA(Redox Bioscience Inc)로 측정하였다. 이를 임상양상, 심근손상 정도와 비교하였다. Non ST-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 환자(n=50)들은non ST-elevation MI (NSTEMI;n=13), 불안정성 협심증(UA;n=21), 이형 협심증 (VA:n=6) 환자로 구성되었다. 결과: 1) 혈장 TRX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,STEMI (270.12±171.85 ng/ml) > NSTEMI(160.35±l 10.07 ng/ml) > UA(96,79+87.18 ng/ml) = VA(102.64±64.15 ng/ml) > 대조군(20.2±21.9 ng/ml) 순으로 각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.(p=0.003) 2) 혈장 TRX 농도는 산화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는 백혈구 수의 증가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.(r=0.34, p=0.05) 3) 심근손상의 지표인 심근효소 CK(r=0.535, p<0.001), CK-MB 최고치(r=0.409, p=0.047)와 MB 최고치(r=0.404, p=0.001)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,CK, CK-MB 최고치 및 변화량은 각 질환 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. 결론: 혈장 TRX 농도는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질환의 중증도 및 심근손상의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으며,이러한 사실은 초기 위험도 및 중증도 평가의 새로운 표지자로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.
TOOLS
METRICS Graph View
  • 0 Crossref
  •  0 Scopus
  • 563 View
  • 1 Download
Related articles


ABOUT
BROWSE ARTICLES
EDITORIAL POLICY
FOR CONTRIBUTORS
Editorial Office
102, Jejudaehak-ro, Jeju-si, Jeju-do 63243, Republic of Korea
Tel: +82-64-754-8023    E-mail: jmls.jeju@gmail.com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Copyright © 2024 by Jeju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.

Developed in M2PI

Close layer
prev next